관심사 등/기타

식케이의 Thug Club 디스 이슈 : 조영민, 'Snitch Club' 그리고 숨겨진 이야기들

채익현 2025. 1. 17. 09:00

안녕하세요. 오늘은 힙합 씬을 뜨겁게 달궜던 식케이의 Thug Club 디스 사건을 더욱 심층적으로 파헤쳐 보겠습니다. 단순히 브랜드 비판을 넘어 여러 가지 복합적인 요소들이 얽혀 있는 이 사건, 특히 조영민에 대한 정보와 논란의 중심에 선 'Snitch Club' 가사, 그리고 제 개인적인 의견까지 솔직하게 담아보았습니다.

사건의 전말: 디스의 시작

2023년, 스트릿 패션 브랜드 Thug Club은 독특한 디자인으로 인지도를 쌓아가고 있었습니다. 하지만 동시에 디자인 표절 의혹과 마약 관련 이미지 사용으로 논란의 중심에 서 있기도 했습니다. 이러한 상황 속에서 식케이는 인스타그램 스토리에 Thug Club 제품 사진과 함께 “짭”이라는 단어를 게시하며 불씨를 지폈고, 릴모쉬핏 또한 비판에 가세했습니다. 이후 'LALALA (Snitch Club)'이라는 디스곡을 발표하며 논란은 정점에 달했습니다.

식케이 - LALALA(Snitch club)

 

 

 

Thug Club과 조영민: 그들은 누구인가?

  • Thug Club: 조영민과 권지율이 공동 설립한 스트릿 패션 브랜드입니다. 힙합 씬과의 연결고리를 통해 빠르게 성장했지만, 디자인 표절 및 마약 관련 논란으로 여러 차례 구설에 올랐습니다. 
  • 떠그클럽 조영민
  • 조영민: Thug Club의 핵심 인물로, 브랜드의 디자인과 운영 전반에 깊이 관여한 것으로 알려져 있습니다. 그는 힙합 씬과 어느 정도 연결점을 가지고 있습니다. 이러한 배경은 Thug Club이 힙합 문화를 기반으로 성장하는 데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됩니다. 하지만 동시에 이러한 배경이 오히려 표절 및 마약 논란과 겹쳐지면서 더욱 큰 비판을 받는 요인이 되기도 했습니다.

디스의 배경: 복합적인 요인들

식케이의 디스에는 여러 가지 요인이 복합적으로 작용했을 것으로 보입니다.

  1. 디자인 표절 의혹: Thug Club의 일부 디자인이 다른 브랜드의 디자인을 표절했다는 의혹은 '오리지널리티'를 중시하는 힙합 씬의 가치관과 충돌했습니다.
  2. 마약 관련 이미지 및 논란: Thug Club이 마약 관련 이미지를 활용하고, 실제 마약 사건 연루 의혹까지 불거지면서 힙합 씬 내에서 부정적인 여론이 형성되었습니다.
  3. 개인적인 갈등 및 배신: 'Snitch Club'이라는 제목에서 알 수 있듯이, 식케이와 Thug Club 관계자 사이에 개인적인 갈등이나 배신과 관련된 사건이 있었을 가능성이 큽니다. 이는 단순히 윤리적인 비판을 넘어 개인적인 감정이 개입된 디스로 이어졌음을 시사합니다.

'LALALA (Snitch Club)' 가사 (일부)

윗도리는 Margiela, THUG CLUB 절대 안 입어

하남자로 만들어버리는 S**K MY D**K 팬티는 Burn it up

*같은 기분 8.15, 광복된 것처럼 흔들어

코 그만 훔쳐 약사들 앞에서 대답해 이 병*이 뜸 들여

눈치 없는 새*, 귀여운 새*, 지겨운 새*, 겁쟁이

B**ch 새*, snitch 새*, THUG인 척하는 영민이 새*

없지 애미, 멋쟁이, 여자 패지 마치 지 애비

Authentic한 내 친구들과 이제 볼일 없겠지

Michael Jaejoon Kim with me 우린 물어봐, Who are you?

마지막이야 나가 뒤지기 싫으면 권지율도

No friends in this industry의 진짜 뜻을

너가 알 때쯤 날 찾아와 꿇겠지 무릎을

No, no, 맨입으로 안 돼 예의 바르게 S**K MY D**K

GOAT 호소인 새* 결국 뒤졌잖아 Don't f**k with SIK

알잖아 6MAFIA 난 끝까지 가 You already know

어차피 마지막에는 흥얼대고 있겠지 내가 You already know

개인적인 의견

'Snitch Club'이라는 제목과 가사를 통해 개인적인 감정을 드러낸 방식에 대해서는 의견이 분분할 수 있습니다. 하지만 힙합 문화에서 디스는 하나의 표현 방식이며, 때로는 이러한 날카로운 비판을 통해 씬 내부의 문제점을 드러내고 자정 작용을 하기도 합니다. 물론, 과도한 비난이나 인신 공격은 지양해야겠지만, 이번 사건은 힙합 씬이 앞으로 나아가기 위해 반드시 짚고 넘어가야 할 문제들을 제기했다고 생각합니다.

결론

식케이의 Thug Club 디스 사건은 표절, 마약, 그리고 개인적인 갈등이라는 여러 가지 요소들이 복합적으로 작용한 결과입니다. 이 사건을 통해 힙합 씬은 '오리지널리티'의 중요성과 윤리적인 문제에 대해 다시 한번 고민하게 되었으며, 앞으로 더욱 성숙한 문화를 만들어나가기를 기대합니다.

#식케이 #릴모쉬핏 #ThugClub #조영민 #권지율 #LALALA #SnitchClub #디스 #표절 #힙합 #오리지널리티 #개인적인의견